성공을 꿈꾸거나 성공의 길을 걷는 사람들이 연습하는 3가지가 있다.
=== 나를 바꾸는 하버드 성공 수업 ===
월요일의 시작은 잘하셨나요?
전국으로 확산되어 가는 오미크론으로
설 명절을 앞둔 사람들의 마음이 싱숭생숭합니다.
제가 자주 듣는 <닥터 조의 건강이야기>라는 채널이 있다.
평소에 도움이 되는 건강지식에 대해서 많이 듣는 편이다.
얼마 전 닥터 조가 이런 말을 했다.
"코로나 안 걸려야겠다는 비현실적인 생각을 하지 말고,
(그것은 일종의 강박증 정신질환이다.)
평소 건강하게 몸 관리 잘해서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도
별문제 없이 잘 이겨내기를 기대하는 것이 지극히 정상적이다."
정말 듣는 순간 쇼킹하면서도 공감이 느껴졌다.
그럼 본격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이 연습하는 3가지에 대해 알아볼까요?
나를 바꾸는 하버드 성공 수업
"삶은 언제나 불공평하다.
우리는 이것에 익숙해져야 한다." - 빌 게이츠-
언제나 우리 입에서 자주 나오고 떠나지 않는 말이죠.
"불공평하다는 말"
그렇죠.
인생은 불공평하죠.
그런데 그것을 바꾸는 것은
어느 누구도 아닌 스스로에게 있다는 것도
우리는 너무나 잘 알고 있습니다.
자기 관리!
그러면 이제 나를 바꿔야죠!

하버드는 지금까지 8명의 대통령과
40명의 노벨상 수상자와
30명의 퓰리처 수상자를 배출해 낸 곳입니다.
하버드에서 받는 성공 수업은 도대체 뭘까요?
1. 자기 관리 강화 연습
자기 관리가 안된다는 말 많이 들으셨나요?
자기 관리는 투쟁이라고 할 만큼
결코 쉽지 않습니다.
자기 관리를 통한 조그마한 통제력이 있다면
그것은 나를 더욱 강하게 만드는 힘이 됩니다.
"아무리 조그마한 통제력이라도
사람을 더욱 강하게 만드는 힘이 있다." - 막심 고리키
자기 관리는 완벽한 사람이 되기 위한 강요가 아니며,
한 가지 실수라도 범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 아니라고
가르친다고 합니다.
자기관리는 자기감정을 자제하고, 제어하려는 개념일 뿐!
감정과 이성을 '강력한 통제'로 압박하는 게 아니라
'적절한 조절'로 높은 성과를 거두게 한다는 것입니다.
자기 관리를 심하게 통제할수록
저항력과 반발심을 키우게 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자기를 솔직하게 인정하고 바라보면서 감정을 조절하고,
자기를 바꾸기 위해 반드시 한 걸음 한 걸음
천천히 나아가는 방법을 택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자기 관리 능력이 향상될 수 있나요?"
먼저 자기감정을 억누르지 말아야 한다고 합니다.
일상생활에서 편안하다고 느끼는 일을 찾아
내 맘대로 하기를 실행하라고 합니다.
단! 남에게 피해를 주는 일은 안됩니다.
<일이 잘 풀리지 않는 이유?>
자기 내면이 무질서하면
외부도 혼란해지는 것이 당연합니다.
내면의 혼란은 집중을 떨어 뜨립니다.
2. 환경에 지배되지 않는 연습
우리는 지독하게 환경에 의해 지배당하는 삶을 삽니다.
그것을 알면서도 너무나도 뻔한 변명과 자기 합리화로
스스로를 패배자로 만듭니다.
그러나 정말 중요한 것!
자기 이상을 실현하는 문제에 있어서는 절대로
외부환경에 방해받는 일이 없어야 합니다.
주변에 부정적인 에너지가 강하면
사람들은 종종 자기 인생이 딜레마에 빠졌다고 느낍니다.
벗어나려고 발버둥 치면 칠수록 상황이 더 나빠진다고 말합니다.
자신에게 주어진 환경은 그저 자기가 주인공인 성공담의 배경 |
우리는 다양한 환경 속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자기 의지를 컨트롤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결심과 결단을 하면 분명히 컨트롤할 수 있고,
자신의 성공담이 됩니다.
"삶은 당신을 속이지 않는다.
단지 당신이 삶을 간파하는 기술이 부족할 뿐이다."
3. 경험 우선주의에서 벗어나는 연습
1884년 허름한 옷을 입은 부부가
하버드 엘리엇 총장을 찾아왔다고 합니다.
그 부부는 하버드에서 공부하다 병으로 세상을 떠난 아들을 위해,
하버드대에 건물을 하나 기증하기 위해 왔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들을 가난한 시골 부부로 생각한 총장이 비꼬는 말을 합니다.
"건물 한 채에 아마 75만 달러는 들 겁니다."
라고 하자,
그 말을 들은 스탠퍼드 부인은
건물 한 채에 75만 달러밖에 들지 않으니
차라리 학교를 짓는 것이 낫다고 했답니다.
이들이 훗날
하버드대학에 버금가는 스탠퍼드대학을 지은 사람들입니다.
"경험은 때로 뼈아픈 교훈을 남깁니다."

사람들은 흔히
자신의 경험이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선 판단과 오류를 범하게 됩니다.
자신의 경험이 정답이 아닐 수도 있는데 말입니다.
"현명한 사람은 경험을 중시하지만
또한 경험에 얽매이지 않는다."
사람들은 자신의 경험에서 모든 것을
판단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경험이 모든 판단의 잣대가 되지는 못하고,
때로는 뼈아픈 교훈을 남기기도 합니다.
세상에는 같은 결과지만
다른 방법으로 처리하는 사례도 많이 있습니다.
=> 틀린 것이 아니라 다른 것!
이라는 인식이 필요합니다.
성공하고 싶다면
창조적인 생각과 강렬한 호기심을 가져야 합니다.
성공한 사람들이 연습하는 3가지 내용
-나를 바꾸는 하버드 성공 수업
내용에 공감하시나요?
자기를 이기는 습관을 만들어가며
승리하는 하루 보내세요. Fighting!
You can do it!
앤텔레콤아카시아향기
#선불폰개통 #순천선불폰 #앤텔레콤 #본인인증폰 #신불자개통 #외국인개통 #걸어다니는대리점
pf.kakao.com
'궁금궁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절 연휴에도 휴대폰 개통이 가능해? (0) | 2022.01.29 |
---|---|
상위 0.001%의 부자들 아침 습관 미라클모닝 (0) | 2022.01.26 |
휴대폰요금 미납연체되면 신용불량자 되나요? (0) | 2022.01.24 |
어떤 일에 마스터를 못하는 사람들의 3가지 특징 알아보기 (0) | 2022.01.23 |
영화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디즈니 이래도 되는 거야? (0) | 2022.01.21 |
댓글